애플사가 2년 전 샌버나디노 난사 사건 때 끝까지 범인의 아이폰 잠금 해제를 끝까지 거부했던 사실 기억하시죠.<br /><br />이번 텍사스 교회 총기 난사범도 아이폰을 썼는데, FBI와 애플사가 또 엇박자를 내다 해당 전화기에 대해 수색 영장까지 발부돼 향후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LA 김기봉 특파원이 전해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끔찍한 살육을 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어 범행 동기와 경위를 알 길이 없었던 텍사스 교회 난사 사건.<br /><br />현장에서 범인의 피 묻은 아이폰이 발견됐지만 수사당국의 고민만 커졌습니다.<br /><br />2년 전 14명이 숨진 샌버나디노 총기 난사 사건의 기억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범인의 아이폰 잠금을 해제해 수사에 협조하라는 법원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애플사는 '위험한 선례'가 될 수 있다며 끝까지 거부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이번에도 수사 당국은 폰은 확보했지만 풀기가 어렵다며 고충을 호소했습니다.<br /><br />[크리스 콤 / FBI 담당 요원 : 우리가 폰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무지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는 말씀만 드립니다. 그런데 솔직히 이게 얼마나 오래 걸릴지는 알 수도 없습니다.]<br /><br />하지만 기자회견이 나간 뒤 애플 측의 반응은 의외였습니다.<br /><br />곧바로 수사에 협조할 준비가 돼 있었고, 특히 사건 발생 48시간 안에는 숨진 범인의 지문으로 쉽게 해제할 수도 있었는데 당국이 요청도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[스티브 깁슨 / 美 소프트웨어 전문가 : 애플은 초기에 줄 수 있었던 도움을 수사당국이 놓쳤다는 거죠. 폰으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도 몰랐다는 거죠.]<br /><br />실제로 애플은 협조 '가이드 라인'을 마련해놨는데, 수사기관이 합당한 사유로 영장을 갖고 오면 내용을 제공한다고 규정돼있습니다.<br /><br />수사 당국은 범인의 폰과 '아이클라우드'에 대해 수색 영장을 발부받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애플이 수사당국이 원하는 만큼 휴대폰 내용 접근에 적극 협조할 지, 아니면 또 다른 제한을 걸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할 상황인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LA에서 YTN 김기봉[kgb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112116215360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